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기초생활수급자 추가 혜택 알아보기 (2025 최신)

by 까꿍우주 2025. 8. 10.

기초생활수급자 추가 혜택받기

기초생활수급자 추가 혜택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. 통신요금·전기·가스·TV 수신료 감면부터 문화누리카드(문화·여행·체육), 에너지바우처, 국가건강검진 본인부담 면제(의료급여)까지. 이 글 하나로 무엇을, 어디서, 어떻게 신청하는지 깔끔하게 정리합니다.

 

👉 지금 가능한 감면·바우처를 먼저 확인하고, 바로 신청해 보세요.

수급자 각종 감면 총정리(보건복지부) 통신요금 감면(복지로) 에너지바우처(한국에너지공단)

 

추가 혜택 한눈에 보기

통신요금 감면

생계·의료: 기본료/월정액 26,000원 한도 면제 + 음성/데이터 50% 감면(월 합산 41,000원 한도). 주거·교육: 기본료 11,000원 한도 면제 + 추가 사용 35% 감면(최대 30,000원).

전기요금 할인

생계·의료: 월 16,000원(여름철 20,000원). 주거·교육: 월 10,000원(여름철 12,000원). 주소 이전 시 재신청 필수.

TV 수신료 면제

생계·의료 수급 가구는 월 TV 수신료 면제(주거·교육 제외).

문화누리카드

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 대상, 1인당 연 14만 원(2025) 문화·여행·체육 바우처.

에너지바우처

세대원 수별로 ’25년 총액 295,200원~701,300원, 하·동절기 통합 사용.

의료급여/건강검진

의료급여 본인부담 상한·보상제, 일부 본인부담 면제 항목. 국가건강검진·국가암검진 본인부담 없음(의료급여).

※ 지역(지자체 조례)·가구 상황에 따라 세부 혜택·금액이 일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공고문/기관 안내가 최종 기준입니다.

급여 유형별로 무엇이 다른가?

  • 생계·의료: 통신·전기·TV 수신료 등 핵심 감면 범위가 가장 넓습니다.
  • 주거·교육: 통신·전기 요금 감면은 가능하나, TV 수신료 면제는 제외입니다.
  • 공통: 주민세(개인균등할) 비과세, 주민등록 등·초본/주민등록증 재발급 수수료 면제 등.

통신요금 감면 신청 방법

  1. 통신 3사/알뜰폰 고객센터 또는 온라인(복지로, 통신사)에서 감면 신청.
  2. 수급 유형(생계·의료/주거·교육) 확인 → 기본료/통화료 감면 자동 산정.
  3. 전입/명의변경 시 감면이 해지될 수 있으므로 재신청 체크.

👇 통신요금 감면 안내 및 온라인 신청 경로

통신요금 감면(복지로) 요금감면 일괄신청(정부24)

TV 수신료 면제 신청 방법

  1. 대상: 생계·의료 수급 가구.
  2. 한전 고객센터(123)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(전입 시 재신청 권장).
  3. 수신료는 전기요금과 함께 고지되며, 면제 승인 후 고지서에서 제외됩니다.

👇 공식 안내 확인

수급자 감면제도 안내(복지부)

 

 

 

전기·도시가스 요금 감면 방법

  • 전기요금: 생계·의료 월 16,000원(여름철 20,000원), 주거·교육 월 10,000원(여름철 12,000원) 정액 감면.
  • 도시가스: 취약계층 요금 감면 제도 운영(지역/공급사별 신청 경로 상이) — 주민센터 또는 공급사 고객센터 통해 신청.

👇 온라인/전화로 간편 신청

전기·가스 감면 기준 보기(복지부) 요금감면 일괄신청(정부24)

문화누리카드(연 14만 원) 신청

  1. 대상: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(만 6세 이상).
  2. 신청: 온라인(누리집·앱) 또는 주민센터.
  3. 용도: 문화·여행·체육 가맹처 결제(연말까지 사용).

👇 바로 신청/발급 안내

문화누리카드(공식)

에너지바우처(’25 금액·기간) 신청

  • 대상: 기초생활수급 세대 + 세대원 특성(노인/영유아/장애인/임산부/중증·희귀난치/한부모/소년소녀가정 등) 충족.
  • 지원금액(’25): 1인 295,200원 / 2인 407,500원 / 3인 532,700원 / 4인 이상 701,300원(사용기간 내 자유 사용).
  • 기간: 신청 2025.06.09~12.31 / 사용 2025.07.01~2026.05.25(하절기 요금차감 7~9월, 동절기 10~익년 5월).

👇 자격·금액·신청 캘린더 확인

에너지바우처(공식)

의료급여·건강검진 추가 혜택

  • 의료급여 본인부담 상한·보상제: 일정 기준 초과분 보상/상한 적용(1·2종 별도 규정). 일부 항목은 본인부담 면제.
  • 국가건강검진/국가암검진: 의료급여 수급자 본인부담 없음(정해진 항목 외 추가검사 시 본인부담 발생 가능).
  • 치과·입원 등 세부 본인부담률: 연령/질환/병상 유형별로 상이 → 안내문·고시 확인.

👇 제도·본인부담 기준 책자

2025 알기 쉬운 의료급여 제도(PDF)

주민세·수수료·자동차 검사 등 기타 감면

  • 주민세(개인균등할) 비과세: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 수급자.
  • 주민등록 등·초본/주민등록증 재발급 수수료 면제: 수급자 공통.
  • 자동차 정기·종합검사 수수료 면제: 생계·의료(보장시설 수급자, 주거·교육 제외) — TS 검사소. ➡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  • 상·하수도 요금·종량제 봉투: 지자체 조례로 감면(지역별 확인).

👇 한 번에 정리된 목록

각종 감면제도 총괄표(복지부) 찾기 쉬운 생활법령(감면 모음)

자주 묻는 질문 & 주의사항

  • Q. 전입/명의변경하면 감면 유지되나요? 대부분 재신청 필요(전기·통신·TV 등 주소/계약 연동).
  • Q. 주거·교육 수급도 TV 수신료 면제? 아니요, 생계·의료만 면제.
  • Q. 대행업체 수수료 내야 하나요? 전부 무료로 직접 신청 가능(공식 포털 이용).
  • Q. 지역별 금액이 다른가요? 전기·통신은 중앙 기준이 있지만, 상하수도/쓰레기봉투 등은 지자체 조례로 달라집니다.
  • Q. 증빙은 어떻게 준비? 주민번호 뒷자리 마스킹, 200~300dpi 스캔, 파일명 예: 성명_서류명_날짜.pdf.

📢 반드시 공식 사이트에서 신청·확인하세요.

복지부 수급자 감면제도 정리 문화누리카드(공식) 에너지바우처(공식)


📍 함께 보면 좋은 글

마무리 한 줄: “자격만 되면 즉시 신청, 전입 시엔 재신청.” — 이 두 가지만 지켜도 체감혜택이 확 달라집니다.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