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농직불금 대상이 아니라면?
👉 걱정 마세요.
면적직불금으로도 수백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
✅ 면적직불금의 조건
✅ 구간별 단가표
✅ 실제 수령액 계산 예시
까지 쏙쏙 정리해 드릴게요.
2025년 면적직불금 신청기간 정리
공익직불금(기본형) 중 하나인 면적직불금,
올해 신청기간은 아래 일정을 꼭 기억해 두세요.
구분 | 신청 방법 | 신청 기간 |
비대면 신청 | 스마트폰·일반전화 (기존 등록자) | 2025. 2. 1 ~ 2. 28 |
방문 신청 |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| 2025. 3. 4 ~ 4. 30 |
✔️ 비대면 신청 대상자는 작년과 등록정보가 변동 없는 경우
✔️ 신규 농업인, 경작지 변경, 정보 수정 대상자 → 반드시 방문 신청
📍 접수는 농지 면적이 가장 넓은 읍·면·동으로!
🔔 추가 팁
- 신청 마감 후에는 등록증 발급(6월) → 현장점검(5~9월) →
지급대상 확정(10월) → 지급 개시(11월) 순서로 진행됩니다.
🎡 면적직불금, 누구에게 해당될까?
• 소농직불금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농업인
• 0.1ha 이상 경작 중인 실제 경작자
• 농업 외 소득 3,700만 원 미만
• 공익직불 준수사항 이행 필수
👉 소농 조건에 안 맞는 분들 중 실제로 더 많이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!
🎏 면적직불금 단가표(2025년 기준)
지역/면적 | 1구간(2ha 이하) | 2구간(2~6ha) | 3구간(6ha 초과) |
지역 | |||
농업진흥지역 논·밭 | 215만 원/ha | 207만 원/ha | 198만 원/ha |
비진흥지역 논 | 187만 원/ha | 179만 원/ha | 170만 원/ha |
비진흥지역 밭 | 150만 원/ha | 143만 원/ha | 136만 원/ha |
✔ 면적이 커질수록 단가 낮아짐
✔ 진흥지역일수록 많이 받습니다
💰 실제 수령액 계산 예시
🔹 예시 1
농업진흥지역 논 3ha 경작 시
→ (2ha × 215만 원) + (1ha × 207만 원) = 637만 원 수령
🔹 예시 2
진흥지역 논 3ha + 비진흥지역 논 1ha
→ (2 ha×215) + (1 ha×207) + (1 ha×179) = 816만 원 수령
🔹 예시 3
비진흥지역 밭 4ha
→ (1 ha×150) + (1 ha×143) + (2 ha×143) = 623만 원 수령
✔ 위치 + 면적 조합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!
📝 신청 시 주의사항
- 농업경영체 등록 필수
- 실경작자 확인 위해 사진·기록 확보
- 준수사항 위반 시 감액 가능
👉 감액 사유는 여기서 확인하세요
📎 감액·지급제외 사유 TOP5 ▶
💥 2025 공익직불금 감액·제외 사유 TOP 5|모르면 1원도 못 받습니다
공익직불금 신청도 했고, 조건도 맞는 것 같았는데…👉 입금이 안 되거나, 지급 금액이 이상하게 적다면? 이 글에서는✅ 자주 발생하는 감액·지급제외 사유 TOP5✅ 각각의 원인과 해결법✅ 예방
6nebula.com
✅ 마무리 요약
✔ 소농요건 안 되면 무조건 면적직불금 검토
✔ 단가표 기준으로 예상 수령액 미리 계산 가능
✔ 실제 경작 면적 + 지역 확인이 핵심!